각 지역별로 놓칠 수 없는 청년 정책들을 소개해드리고 있는데, 이번에 소개해 드릴 정책은 부산광역시에서 미취업(창업) 청년이 경제적 부담없이 구직활동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청년디딤돌카드 정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이 정책은 올해 초 한번 진행이 되었는데 이번에 2차 모집이 시작된다고 해요 ! 바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게 이미지에 링크 걸어드릴테니 꾹 눌러 확인해주세요 !

부산 청년플랫폼 사회진입 활동비 지원사업은 지난 2월 1차 모집이 있었고 이번에 2차 모집이 4월 6일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. 부산에 거주하고 구직활동을 하고있는 청년분들 디딤돌카드 꼭 하셔야합니다. 신청기간과 지원대상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함께 설명드릴께요.
청년플랫폼 사회진입 활동비 디딤돌카드+ 지원사업이란?
부산시에서 취업/창업 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없이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게 여건을 조성해주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로 6개월간 매월 50만원씩, 총 300만원의 취/창업 비용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
∴ 지원대상 및 자격요건
● 연령 : 만 18세 ~ 만 34세 이하 청년 (88.4.6.~05.4.5. 출생자) 500명 모집
- 병역의무 이행자는 병역복무 기간만큼 연령 상한 최대 24개월 연장
● 거주지 : 주민등록 기준 부산광역시에 거주중인 자
● 학력 : 최종학력 졸업(중퇴,제적)자 미취업자 (학력무관)
- 재학생 참여불가 (단, 대학원 수료자 지원가능)
- 원격대학(방송통신대학, 사이버대학), 검정고시 합격자
- 고교/대학/대학원을 졸업한 학점은행제 재학생 지원가능
- 해외학교의 경우 번역 공증 또는 외국어번역행정사 번역확인 후 지원
● 취업여부 : 미취업자, 미창업자만 신청가능
- 고용보험(상용) 가입자 중 주30시간 미만인 경우 미취업으로 간주 (근로계약서 등 증빙 필수)
- 공무원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는 지원제외
● 소득 : 2023년도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인 자 (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)
- 3개월 (23년 1월~3월) 간 가구원의 건강보험료 부과액 합계의 평균으로 산정
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 ** 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일괄조회
- 1~2인 가구는 3인 가구의 기준으로 산정
청년 사회진입 활동비 지원사업 제외 대상은 ?
● 지원제외 대상
- 동시참여 제한 (공고일기준)
1. 고용노동부 취업성공패키지, 국민취업지원제도Ⅰ유형(구직촉진수당) 및 Ⅱ유형 참여자(취업활동비용·취업지원서비스)
2. 실업급여 수급자, 부산형 기초보장제 수급자, 생계급여 수급자(단, 주거, 교육, 의료 급여만 받는 경우 지원가능
3. 재정지원 직접일자리 사업 참여자(단, 주 30시간 미만 근로할 경우 지원가능) 등
4. 정부지원(내일배움카드) 훈련 장려금 수급자(계좌발급 및 훈련참여는 가능하나, 훈련장려금 수급은 불가)
5. 사회진입활동비 지원사업과 유사한 (타) 지자체 청년수당 참여자
- 부산시 기존 디딤돌카드 지원사업 수혜자 (2017년~2022년)
- 군 복무 중인 자 (대체 복무 포함), 외국인
디딤돌카드+ 지원 신청 및 선정 방법
∴ 지원내용
● 사회진입 활동비 최대 300만원 지원 (월 50만원 * 6개월)
- 취업성공금지급 : 4개월 이내 조기 취.창업으로 사업 중단할 경우 50만원 1회 지원 (조건부 지급)
- 구직역량강화 프로그램 : 맞춤형 구직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
● 신청기간 : 23.4.6. (목) 13:00 ~ 23.4.17. (월) 18:00
● 지급방법 : 체크카드 (클린카드 가능) 발급 후 매월 1일 포인트 지급
● 신청방법 : 디딤돌카드 홈페이지 온라인접수
● 제출서류 : 아래 이미지 클릭으로 상세내역 확인
● 선정방법 : 정량평가 합산, 고득점자순 선정
- 정량평가 (100점) : 가구소득 90점 + 미취업 기간 10점
** 동점일 경우 가구소득 저소득자 → 미취업 기간 장기자 순으로 선정

사회진입활동비 지원 뿐만 아니라 맞춤형 취업지원 프로그램 연계 및 지원도 해주는 부산광역시 청년플랫폼 사회진입 활동비 지원 사업 ! 지원 대상이 맞는지, 준비해야 하는 서류는 뭐가 있는지 자세한 공고문을 한번 더 확인 하시고 신청해서 주시기 바랍니다.